성장 통

청소년들의 정서적 불안정은 대개 성장 통(痛)이다. 이유 없는 반항, 자학과 퇴행적 행동, 정욕과의 투쟁, 독립과 종속의 갈등, 가출과 방랑의 유혹, 상대적 열등감, 기대와 능력의 괴리, 이상과 현실의 상충 등이 바로 그것들이다. 꼭 집어 무어라 표현할 수 없는 고통으로 그들은 마음 문을 닫아버리며 부모들은 그 빗장을 열지 못해 힘들어한다. 노련한 상담교사들은 청소년들의 통증 원인을 가끔 그들의 부모에게서 발견한다. 일방적으로 자식의 인생을 계획하고 추진하고 결정하는 부모, 자식의 희망이나 소원보다는 자기의 꿈이나 기대를 대리 실현하려는 부모, 안정적인 가정을 제공하지 못하는 부모, 있는 그대로의 자식을 사랑하지 않고 이상적인 자식 모델을 사랑하는 부모 등이 그 원인일 수 있다. 부모는 있는 그대로의 자식을 사랑해야 한다. 순리대로 걸어가도록 격려해야 한다. 들볶지 말아야 한다. 잘못과 실수에도 불구하고, 나는 항상 사랑 받고 있는 자식이라는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 그렇게 될 때 성장 통은 성숙을 위한 성장기의 고통으로 끝날 수 있다.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croll to Top